NEA와 오픈 AI가 공개한 AI 투자 승부수... '역사상 가장 큰 기회가 있는 ' AI 시장 진출 전략
글로벌 AI 투자 시장에서 승부를 가르는 핵심 전략은 무엇일까요? 이번 주 수요일과 목요일 양일간 일본 오사카에서 열린 Global Startup Expo에서는 AI를 바라보는 주요 이해관계자들이 등장한 세션이 열렸습니다. 미국의 주요 벤처캐피털 중 하나인 NEA의 앤드루 쇤 파트너 오픈 AI에서 공공 정책을 총괄하는 제임스 헤어스턴 세일즈포스
글로벌 AI 투자 시장에서 승부를 가르는 핵심 전략은 무엇일까요?
이번 주 수요일과 목요일 양일간 일본 오사카에서 열린 Global Startup Expo에서는
AI를 바라보는 주요 이해관계자들이 등장한 세션이 열렸습니다.
미국의 주요 벤처캐피털 중 하나인 NEA의 앤드루 쇤 파트너
오픈 AI에서 공공 정책을 총괄하는 제임스 헤어스턴
그리고 세일즈포스 벤처스의 아사다 캔 일본/대한민국 담당이 함께한 세션이 그것인데요.
이들은 45분간 진행된 세션에서 AI와 관련된 다양한 생각을 밝히고 공유했습니다.
본지는 이날 세션을 아래와 같이 정리했는데요.
글로벌 투자사들의 AI 투자 전략과 방어 가능한 차별화 요소
AI 스타트업, 사용량 기반 과금으로 한 자릿수 더 높은 수익화 가능
글로벌 AI 생태계에서의 소버린 AI와 협력 전략
이 내용을 중심으로 오늘 글을 시작하겠습니다.
1. 글로벌 투자사들의 AI 투자 전략과 방어 가능한 차별화 요소
NEA의 앤드루 쇤 파트너는 AI 기술이 투자 프로세스를 어떻게 변화시키는지 소개하며 세션을 열었습니다.
현재 NEA는 47년간 축적된 투자 히스토리 데이터를 바탕으로 AI를 활용한 스크리닝 시스템을 구축한 상황입니다.
NEA는 현재 신규 투자 기업 발굴과 최우선으로 투자 검토를 진행할 스타트업 목록 선정에 AI를 활용하고 있었습니다. 이와 함께 엑싯하지 않은 투자에 대한 사후 검토도 함께 실시하여, AI가 보다 더 능동적인 역할을 하도록 독려하고 있었습니다.
참고로 NEA는 통상 1,000여 기업을 검토한 후 이중 1개 기업에 대한 투자 집행해왔습니다.
한편 앤드루 쇤은 현재 NEA 내부에서 AI 기업을 평가할 때 보는 3가지 기준을 밝혔는데요.
차별화: 해당 기업이 경쟁사와 구별되는 고유한 가치 제안 (Value Proposition)
반복 가능성: 해당 사업 모델이 지속적으로 성과를 창출할 능력이 있는지
확장 가능성: 시장 성장에 따라 비례하여 성장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는지
그리고 이러한 3가지 요소로 나름의 진입 장벽을 쌓기 위해 AI 사업자들은 3가지 이니셔티브에 집중한다고 밝혔는데요.
우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