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1 팬층 대변화: 40%가 25세 미만, 40%가 여성으로... AI가 바꾼 모터스포츠
지난 27일 개봉한 브래드 피트 주연의 영화 “F1”이 전 세계 관객들을 사로잡고 있습니다. 1990년대 사고로 은퇴한 전설적인 드라이버 소니 헤이즈가 30년 만에 F1 경기장으로 돌아오는 이야기를 그린 영화인데요. 실제로 해당 영화는 그랑프리 현장에서 촬영했으며 루이스 해밀턴이 프로듀서로 참여하는
지난 27일 개봉한 브래드 피트 주연의 영화 “F1”이 전 세계 관객들을 사로잡고 있습니다.
1990년대 사고로 은퇴한 전설적인 드라이버 소니 헤이즈가 30년 만에 F1 경기장으로 돌아오는 이야기를 그린 영화인데요. 실제로 해당 영화는 그랑프리 현장에서 촬영했으며 루이스 해밀턴이 프로듀서로 참여하는 등 매우 현실적으로 현장을 담아낸 것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영화 속 화려한 레이싱 뒤에선 관중들이 보지 못하는 또 다른 혁명이 일어나고 있었습니다.
실제로 F1 현장에서는 생성형 AI와 클라우드 기술이 바탕이 되어
F1이라는 스포츠가 갖는 자체 DNA를 바꿔나가고 있었는데요.
올해로 75주년을 맞은 F1은 AI와 데이터를 접목시키면서 모든 면이 달라지고 있었습니다.
경기 중 추월이 본격적으로 테크를 도입하기 이전과 비교하면 33% 늘어났고
1밀리미터 수준까지 정확도가 높아지면서 차량의 벽 근접도를 실시간 측정했으며
팬들이 직접 레이스 트랙을 설계할 수 있는 단계까지 나아갈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F1의 변화를 지난달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Viva Technology 2025에서 자세히 들을 수 있었는데요
AWS의 미디어·엔터테인먼트·게임·스포츠 사업부 총괄 이사인 사미라 박티아르 사회로 진행된 이 세션에서 F1의 전략 부문을 총괄하는 루스 버스콤이 무대에 섰습니다.
15년간 F1에서 활동해온 루스 버스콤은
2018년부터 시작된 테크 접목이 어떻게 F1을 변화시켰는지 설명하는 동시에
실시간 데이터 분석에 따른 팬 참여 방식의 혁신까지 다양한 이야기를 20분간 털어놨습니다.
본지는 이날 세션을 아래와 같이 정리했는데요.
클라우드 기술로 F1이 이룬 변화: 3년 프로젝트를 3개월로 단축
24개 F1 인사이트가 만든 경기 분석의 혁명: 몇 초 단위 피드백 시대
포뮬러 원의 멀티플랫폼 팬 참여 전략: AI 기술과 소셜 미디어를 통한 글로벌 확장
이 내용을 중심으로 오늘 글을 시작하겠습니다.
1. 클라우드 기술로 F1이 이룬 변화: 3년 프로젝트를 3개월로 단축
F1과 테크의 만남은 2018년 AWS와 파트너십을 체결하면서 시작되었습니다.
이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F1 스포츠의 운영 방식은 크게 바뀌게 됩니다.
F1 차량 한대에는 약 300여 개의 센서가 달려 있습니다.
이 센서들은 초당 110만 개의 데이터를 생성하는데요.
이렇게 생성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처리하고 분석하는 것이 레이스에서 승부를 가르는 요인이었습니다.
이런 차량 차원은 분석을 넘어서, 방송 운영이 획기적으로 개선되었습니다. 기술적인 요소가 가미되면서 F1은 원래 3년가량 걸릴 것으로 예상되었던 프로젝트를 3개월 만에 완성하게 되는데요.
기존 방송 시스템을 현장에서 처리하는 것을 넘어서
영국 빅긴 힐에 있는 F1 본부로 옮긴 것이었습니다.
현장에서는 영상을 송출하는 텐트 하나만 설치할 만큼 간소화되었으며,
모든 방송을 모으고 처리하는 대규모 시스템은 AWS의 클라우드에서 이뤄지고 있었습니다.
이렇게 중앙에서 통제하기 때문에 과거와는 달리 예상하지 못한 문제가 생겨도 빠른 대응이 가능했습니다.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열린 F1 경기 당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