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ickool

The Pickool

Earnings Call

카카오, 메신저 넘어 AI 플랫폼 진화…3분기 역대 최대 실적 달성

카카오가 오늘 2025년 3분기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할 때,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9%, 59% 증가하며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던 석 달전 2분기 실적을 모두 경신했습니다. 주요 재무실적은 아래와 같았습니다. 총매출: 2조 866억 원 (전년 동기 대비 9% ↑, 전 분기 대비 3% ↑) 영업이익: 2,080억 원

이태호 (Philip Lee)'s avatar
이태호 (Philip Lee)
Nov 07, 2025
∙ Paid

카카오가 오늘 2025년 3분기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출처: 카카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할 때,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9%, 59% 증가하며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던 석 달전 2분기 실적을 모두 경신했습니다.

주요 재무실적은 아래와 같았습니다.

  • 총매출: 2조 866억 원 (전년 동기 대비 9% ↑, 전 분기 대비 3% ↑)

  • 영업이익: 2,080억 원 (전년 동기 대비 59% ↑, 전 분기 대비 12% ↑)

  • 당기순이익: 1,930억 원 (전년 동기 대비 146% ↑, 전 분기 대비 12% ↑)

카카오는 플랫폼 부문과 콘텐츠 부문으로 나눠 공시합니다.

플랫폼 부문: 매출 1조 598억 원 (전년 동기 대비 12% ↑, 전 분기 대비 0.4% ↑)

  • 톡 비즈: 5,344억 원 (전년 동기 대비 7% ↑, 전 분기 대비 1% ↓)

  • ㄴ광고: 3,254억 원 (전년 동기 대비 11% ↑)

  • ㄴ커머스: 2,090억 원 (전년 동기 대비 유사 수준)

  • 포털 비즈: 730억 원 (전년 동기 대비 5% ↓, 전 분기 대비 7% ↓)

  • 플랫폼 기타: 4,527억 원 (전년 동기 대비 24% ↑, 전 분기 대비 4% ↑)

콘텐츠 부문: 매출 1조 267억 원 (전년 동기 대비 5% ↑, 전 분기 대비 6% ↑)

  • 게임: 1,540억 원 (전년 동기 대비 34% ↓, 전 분기 대비 8% ↑)

  • 뮤직: 5,652억 원 (전년 동기 대비 20% ↑, 전 분기 대비 9% ↑)

  • 스토리: 2,110억 원 (전년 동기 대비 3% ↓, 전 분기 대비 3% ↓)

  • 미디어: 958억 원 (전년 동기 대비 75% ↑, 전 분기 대비 2% ↑)

본지는 이날 실적 발표 공시 자료와 콘퍼런스 콜 내용을 아래와 같이 정리 및 분석했는데요.

  1. 카카오톡 15년만 최대 개편 성과... 일 평균 체류시간 24분→26분 반등

  2. 메신저 넘어 AI 검색 플랫폼으로 진화... 챗 GPT 결합 본격화

  3. 에이젠틱 AI 구현 본격화... MCP ·에이전트 빌더로 개방형 생태계 구축

이 내용을 중심으로 오늘 글을 시작하겠습니다.


1. 카카오톡 15년만 최대 개편 성과... 일 평균 체류시간 24분→26분 반등

정신아 CEO는 지난 9월 단행한 카카오톡 개편 결과를 밝혔습니다. 카카오는 서비스 탄생 이후 15년 만에 가장 큰 규모로 보고 있었습니다. 정 CEO는 이용자의 의견을 수렴, 4분기부터 예정된 친구 탭 개편을 포함 서비스를 지속해서 개선할 계획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특히 카카오톡이 메신저 서비스로 시작한 만큼

  • 이용자들이 요청해온 맞춤형 편의 기능을 단계적으로 적용하겠다고 밝혔습니다.

  • 이를 위해 메시지 본연의 UX를 고도화하는 작업도 진행 중이었습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채팅 탭 내 수많은 대화방을 목적에 맞게 폴더로 분류하는 ‘맞춤형 폴더’ 기능을 강화할 예정입니다.

이미 선보인 ‘안 읽은 폴더’처럼

  • ‘가족 폴더’, ‘회사 폴더’ 등 이용자가 원하는 기준으로 채팅방을 정리할 수 있게 될 전망입니다.

  • 또한, 폴더 안에서도 즐겨 찾는 방은 자동으로 분류·관리되는데요.

  • 카카오 측은 이용자 경험이 한층 쾌적해질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이와 함께 카카오는 앞으로 하나의 폴더에 있는 여러 채팅방의 방대한 메시지를 AI가 요약하는 기능도 도입할 계획입니다.

이 기능이 적용될 경우

  • 이용자는 채팅방에 일일이 들어가지 않아도

  • 대화의 흐름과 핵심 내용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될 전망입니다.

카카오 경영진들은 이를 통해 메시지 환경이 더욱더 효율적으로 바뀔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개편 이후 성과도 이날 공개됐습니다. 개편 전 3분기 평균 24분대였던 일평균 체류 시간이 개편 후 26분에 근접한 수준까지 증가했습니다. 그동안 하향 안정화되던 체류 시간이 처음 반등했다는 점에서 카카오 경영진들은 의미가 크다고 판단하고 있었습니다.

채팅 탭 트래픽은 여전히 견조한 가운데,

  • 콘텐츠 탐색·발견 성격의 ‘친구 탭’과 ‘지금 탭’ 체류 시간은

  • 개편 후 3분기 평균 대비 10%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출처: 카카오

카카오 측은 그동안 대화방에 편중됐던 트래픽이 채팅 외 다른 탭으로 확장되며 플랫폼 전반의 트래픽 질이 향상된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했습니다.

앞으로 방향에 대해 정신아 CEO는

앞으로 카카오톡 핵심 기능인 채팅에서는 편의성을 높이고

다양한 피드백을 수렴해 플랫폼을 지속 개선하겠다.

전 국민이 카카오톡에 더 오래 머물도록 다양한 맥락을 강화하겠다

고 밝혔습니다.

이와 함께 개편 직후의 체류 시간 증가는 시작에 불과하며, 연초에 밝혔던 ‘카카오톡 체류 시간 20% 증가’ 목표를 달성 의지를 재확인했습니다.

2. 메신저 넘어 AI 검색 플랫폼으로 진화... 챗 GPT 결합 본격화

이날 정신아 CEO는 카카오의 또 다른 성장 축인 AI에 대한 관점을 밝혔습니다.

지난 분기 카카오는 “모두의 AI”를 목표로 누구나 카카오톡 안에서 AI를 경험할 기반을 만든다고 밝힌 바 있는데요.

이에 따른 결과물로

This post is for paid subscribers

Already a paid subscriber? Sign in
© 2025 Pickool, Inc.
Privacy ∙ Terms ∙ Collection notice
Start your SubstackGet the app
Substack is the home for great cul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