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ickool

The Pickool

Trends & Event

트럼프식 딜의 실체: 5,500억 달러 미-일 투자 협정 해부

어제 일본 도쿄에서 열린 미국과 일본 간 정상 회담 직후 미 백악관은 미-일간 5,500억 달러 규모의 투자 협정에 대한 세부 내용을 Fact Sheet를 통해 공개했습니다. 이번 양국 정부의 합의 사항은 크게 4가지 축으로 구성되는데요. 일본 기업들의 미국 내 에너지 및 AI 인프라 투자 확대 핵심 광물 공급망 다변화를 위한 양자 협정 체결

이태호 (Philip Lee)'s avatar
이태호 (Philip Lee)
Oct 28, 2025
∙ Paid
4
Share

어제 일본 도쿄에서 열린 미국과 일본 간 정상 회담 직후 미 백악관은 미-일간 5,500억 달러 규모의 투자 협정에 대한 세부 내용을 Fact Sheet를 통해 공개했습니다

출처: 일본 총리실 페이스북

이번 양국 정부의 합의 사항은 크게 4가지 축으로 구성되는데요.

  • 일본 기업들의 미국 내 에너지 및 AI 인프라 투자 확대

  • 핵심 광물 공급망 다변화를 위한 양자 협정 체결

  • 일본의 미국산 에너지 대규모 구매 약속

  • 마지막으로 불법 마약 밀매 방지와 방위 협력 강화입니다.

본지는 그동안

  • 트럼프의 공약 분석부터

  • 일본 다카이치 신임 총리의 공약 분석 등

  • 두 국가의 지도자가 제시한 공약에 대한 내용을 전해드린 바 있습니다.

이번 협정을 검토한 결과 단순히 일본의 투자 수준을 넘어서는 미국의 경제 안보와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종합적인 전략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본지는 이번 미-일간 협정 내용을 아래와 같이 정리했는데요.

  1. 에너지 인프라에 집중... 3,320억 달러 투자 약속

  2. 데이터센터·전자 부품·핵심 광물... 일본, 미국 AI 공급망 전방위 지원

  3. 투자 심사·방위·에너지 안보...미일, 안보 협력 체계 전면 강화

이 내용을 중심으로 오늘 글을 시작하겠습니다.


1. 에너지 인프라에 집중... 3,320억 달러 투자 약속

이번 미일 기본 협정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에너지 인프라 분야였습니다.

일본 정부와 기업들은 미국 내 핵심 에너지 인프라 지원을 위해 최대 3,320억 달러를 투자하기로 했습니다. 단일 분야 투자로는 이례적인 규모입니다.

투자의 범위는 발전 설비 구축부터 송배전 시스템까지 전력 인프라 전반을 아우를 것으로 보입니다.

pexels-pok-rie-33563-189524.jpg
출처: Pexels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발전 부문에서는

  • Westinghouse와 협력하여 AP1000 및 소형 모듈형 원자로를 건설하고,

  • GE Vernova와 Hitachi와 협력하여 추가 소형 모듈형 원자로를 구축할 계획입니다.

  • ENTRA1 Energy는 대규모 기저부하 전력 인프라 공급을 담당할 예정입니다.

인프라 구축 측면에서는

  • Bechtel과 Kiewit가 발전소·변전소·송전 시스템 구축을 위한 엔지니어링 및 조달 서비스를 제공하고

  • SoftBank Group은 대규모 전력 인프라의 설계·조달·유지 보수 서비스를 맡으며,

  • Kinder Morgan은 천연가스 송전 및 전력 인프라 서비스를 담당할 예정입니다.

마지막으로 전력 설비 공급 분야에서도 대규모 투자가 이루어질 전망입니다

GE Vernova는 최대 250억 달러 규모로

  • 가스 터빈, 증기터빈, 발전기 등 대규모 전력 설비를 공급할 예정입니다.

  • 고압 직류 송전 시스템과 미션 크리티컬 시설을 위한

  • 변전 설루션도 함께 제공한다고 백악관은 밝혔습니다.

  • Toshiba는 최대 250억 달러를 투입하여 전력 모듈, 변압기, 발전·변전 설비를 공급하고,

  • Carrier는 최대 200억 달러로 전력 인프라에 필수적인 냉각 시스템 및 공조 설루션을 제공할 예정입니다.

사실 전력 부문 현대화는 트럼프 2기의 주요 공약 사항이기도 합니다.


트럼프의 공약 "Agenda 47" 살펴보기: 제2편 - 에너지 및 주택 정책

트럼프의 공약 "Agenda 47" 살펴보기: 제2편 - 에너지 및 주택 정책

이태호 (Philip Lee)
·
July 23, 2024
Read full story

  • 이러한 대규모 에너지 인프라 투자는 단순히 전력 공급 확대를 넘어,

  • 미국이 추진 중인 제조업 리쇼어링과

  • AI 산업 육성에 필요한 안정적인 전력 기반을 구축하려는 전략적 의도로 해석됩니다.

이와 함께 AI 인프라에 대한 투자도 협정서에 담겼는데요. 좀 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2. 데이터센터·전자 부품·핵심 광물... 일본, 미국 AI 공급망 전방위 지원

AI 인프라 투자는 이번 협정의 또 다른 핵심 축입니다.

This post is for paid subscribers

Already a paid subscriber? Sign in
© 2025 Pickool, Inc.
Privacy ∙ Terms ∙ Collection notice
Start your SubstackGet the app
Substack is the home for great culture